jaystory
네이버 서버에 문제가 생긴 모양인데, 꽤나 오랜시간동안 계속 되고 있다. 비상걸렸겠네. 저, " 네이버라고 다 잘되는 건 아니다 "라는 글은 네이버 서비스라고 다 잘되는 건 아니라고, 게시판 서비스를 예로 블루문님이 쓰셨던 글인데 오후경에 읽었었는데, 묘하게도 오늘 이런 상황과 잘 맞아떨어진다. 재밌다 참. 미리, 예상하고 있었던건 아닐텐데 말이다. :D 저 글도 네이버 블로그에 있으니 트랙백도 날릴 수가 없구나. 이런. 네이버라고 항상 다 잘되는 건 아니다. 오늘같이 안될때도 있는거지 :)
ozzyz님의 글에 트랙백 SK커뮤니케이션즈의 이글루스 영업양수도와 관련하여, 아주 블로거들의 반응이 뜨겁다. 사람이라는 게 참 무섭다. 자신의 눈에 보이는 것이 세상의 전부로 착각하는 건 아주 쉽고 순식간이니. 진보건 보수건, 어느 순간부터 조선일보는 정말 나쁜 신문, 지하철에서 한겨레21을 보고 있으면 그럴듯한 대학생이 되고 7년째 100원인 우리학교 자판기 커피와, 수많은 테이크 아웃의 커피와, 별다방 콩다방의 커피의 차이점을 나는 알지 못한다. 그곳에서 우아하게 수다떨고 공부하면 그럴듯한 대학생이 된다. 대기업의 독점과 독단을 욕하면서도 취업때가 되면, 내 꿈과 내 생각과, 내 자존심은 사라지고 대기업의 네임벨류에 나를 맡긴다. 뚜렷한 자기 의견을 드러내는 사람들이 물론, 전체 네티즌의 얼마나 될..
iPod 소프트웨어 디자이너였던 Paul Mercer를 삼성이 고용해 만들어 내놓은 mp3 player. music, photo, playlists 의 메뉴의 모양이 익숙하다. 플레이어의 크기나 저장 용량, 심지어 가격마져 아이팟과 유사하다. 단지 인터페이스가 휠이 아니라, 가운데 사각형 모양의 터치패드가 있다. iPod에 비해 음악 소스의 구입처가 다양하는 것이 차이점. 외국에서는 삼성이 아이팟 죽이기에 나섰다고 말하는데,(역부족이라고 해도;) 정작 삼성 보도자료에는 그런 얘기는 없구나. 크. 삼성 mp3 player가 예전 보다 많이 발전하고 있는거 같긴 하다.
" I Swear, Jack. " 좋아하지도 않고, 내가 받아 들일 수도 없지만 있는 그대로 인정할 수 있는 가치들이 있다. 스크린도 작았던 그 곳에서, 극장에 3분의 2정도 찬 상태에서 봤던 영화. 게이 카우보이들의 이야기가 아닌, 카우보이와 목장주인 따님의 로멘스였다면 그들은 눈물흘리며 감동적이었다고 떠들며 나왔을까? 마치 웃찾사를 보고 있는 듯이 내 옆자리에서 깔깔대며 웃던 커플들이 정말 미웠고 싫었다. 당신들이 어떻게 생각하든 그건 관심도 없다만, 남의 감상을 한낱 웃음으로 만들어 버리는 몰상식은 뭐란 말야. 사람과 사람이란 존재사이엔 항상 소통의 문제가 존재하기 마련인가 보다. 둘 모두, 이해할 수 있을 것만 같아. 엔딩 크레딧때의 노래가 죽인다던데, 기분이 좀 상해서 끝까지 못듣고 나와버렸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