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ystory
_ 원제는 마켓팅 3.0이라고 하는데 한국판 발매를 하면서 마켓 3.0으로 바꿨다고 한다. 마켓 3.0과 마케팅 3.0이 주는 느껴지는 범주의 차이가 있고 기대하게 되는 내용도 분명 달라지는데 책 제목 자체를 바꾼것 부터가 마켓팅이구나. 언제부터인가 1.0 - 2.0 - 3.0의 버져닝이 유행이 되었던 걸까. + 사용자에게 수요를 창출해 낸다는 것이 없는 수요와 탐욕을 부추기는 듯한 인상이 있어 아직도 내겐 마케팅이라는 것에 대한 거부감으로 있나보다. 경영이나 마케팅에 대해 아무런 생각도 지식도 없던 대학생 때 늦은 새벽 철학과 선배와 술을 먹다가 경영을 복수전공 해보면 어떨까 하는 얘길 꺼냈다가 호되게 혼났던 일이 생각이 났다. + 암튼 경영이나 마케팅은 정식으로 배운적은 없지만 필립 코틀러라는 구루의..
1. 어느날 신문을 보다가, 어떤 외국 교수 아저씨가 스티브 잡스는 창의적인게 아니라 기존에 있는 아이디어를 잘 버무려낸 사람이라며, 잡스가 제록스 연구소의 GUI를 베껴온 잘 알려진 사례를 그 예로 든 기사를 보았다. 2. 결국 세상에 완전히 새롭고 완전히 독창적이고 새로운 것은 없으며, 모든 것은 이미 존재하는 것들이 새롭게 결합할 때 탄생한다. 그리고 그 결합에 있어서의 핵심은 전략적 직관이다 라는 얘기. 주장하는 바에는 약간 솔깃했는데 단순히 하나의 잡스의 사례에 기대어 말하는 것이 조금 비약이 아닌가 미심적었는데 어떻게 우연히 추천받은 책을 샀는데 사고보니 저 교수 아저씨가 지은 책이네 -.- 책을 읽고나니 꽤나 많은 사례의 조사로 설득력이 있었고, 재밌게 읽었다. 인상깊었던 구절을 따로 정리해..
바깔라우말고대구감자요리 by hunt _ 대학생 인턴시절에 약간 충격으로 다가왔던 것은 다양한 전공의 사람이 모인 가운데, 처음 듣는 낯선 단어들이 오가는 것이었다. 나만 모르고 있었던 것인지 다들 아는 척 모르쇠하고 있던 건지는 알 수 없지만 그 중에는 회사에서 통용되는 약어/용어도 있었고 주로 경영학과 같은 특정 학문분야의 단어도 있었다. + 알고보면 그러한 용어는 긴 단어의 약어이거나, 관례적으로 오랜 시간 사용되었거나, 어떤 개념을 지칭하는 단어였는데 단어의 낯설음에 비해 그 단어가 품고 있는 본 뜻은 전혀 낯설은 건 아니었다. 용어가 상형문자는 아니니 품고 있는 뜻은 아무리해봐도 유추불가능. + 기획자와 개발자의 대화에서 의도적으로 기술적인 용어를 사용하여 기획자를 원하는바대로 몰아가려는 개발자..
_ 요즘은 빈도수가 급격히 줄었지만 RSS Reader로 구독중인 주로 보는 블로그의 대략 유형 분류와 섭취 방법 정리 1. 외국 소스를 기반으로 신속한 번역/정리 + 코멘트 - 기발한 사이트 소개, 혹은 글로벌한 IT 이슈들의 소개 위주 블로그 - 주로 소스는 외국의 유명 사이트이며, - 발빠르게 번역/요약/정리가 올라옴 - 코멘트의 영양가는 좀 떨어지므로 팩트 위주의 섭취 - 예전에는 출처 및 소스를 밝히지 않아, 컨텐츠의 출처가 불명확하여 본인이 찾은(쓴) 글인지 애매한 경우도 존재했으나, 최근에 저작권 등 문제 때문에 거의 드물다. 2. 전문분야에 종사하는(주로 IT) 전문가의 인사이트 엿보기 - IT, 웹, 모바일, UX 등 해당 업종 종사자의 인사이트/아이디어 엿보기 - 팩트보다는 추가적인 코..
_ http://tastebuds.fm/ last.fm 계정 정보에 있는 선호 아티스트나, 계정이 없을 경우 수동으로 입력한 선호 아티스트 정보를 통해 나와 유사한 음악 취향을 가진 사람을 찾아주는 서비스 모토는 music dating and social network for music lover 뮤직 데이팅이라는 표현이 재밌다. 검색조건에 본인 성별과 대상 성별도 고를 수 있다. 유사한 서비스는 이미 꽤 많을테고, 사실 위 사이트의 유용성은 꽝이다. (국내향이 아니라 당연히 그럴지도) + last.fm 자체에서도 음악적 취향의 맵핑 정도를 보여주는 지표가 있는데, (super, very high, low 등으로 표기) 가져올 수 있는 정보가 한정적인건지 로직 자체의 정밀도가 떨어지는 건지 테스트 결과,..